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프로젝트의 범위관리 어떻게 하는것이 좋을까?

프로젝트의 범위란 프로젝를 시작할때 제안요청서상의 기능적인 부분과 비기능적인 부분에 대해 꼭 수행하여야 한느 작업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작업은 실제로 wbs로 세부적으로 나누어야 하며, 또한 각각 단위별로 상세화 되어 관리되어야 프로젝트를 철두철미하게 관리가 가능합니다. 프로젝트이 범위는 프로젝트의 시작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내용이며, 프로젝트이 계획부터 종료까지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아무 탈없이 끝낼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프로젝트 중간중간 발생하는 이슈와 변경관리등을 확실히 관리하여, 프로젝트 변경 승인시에 범위에 꼭 포함시켜 포괄적인 프로젝트에서 미흡한 부분이 없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프로젝트의 범위관리에서 꼭 지켜야 되는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프로젝트 또는 프로젝트 단계의 시작을 공식화할 수 있는 문서를 꼭 만들어서 고객의 승인을 득해야 합니다. 요구사항과 기대사항을 문서화하여 꼭 고객의 사인을 득해야합니다. 프로젝트를 수행가능한 수준, Work단위로 나누어서 관리가능한 수준으로 분리하여 각각에 일정과 리소스까지 관리하여야 합니다. 프로젝트를 완료하기위해서 꼭 필요한 문서, 산출물을 정의해야 합니다. 범위라는것은 꼭 수행할 것과 수행하지 말아야 하는것을 정의하여야 하고 그것에 대하여 통제하여 프로젝트 내에서 불필요한 작업을 배재하고 진행관리하여야 합니다. 번위는 제품 범위와 프로젝트 범위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제품범위는 제품의 요구사항에 대해 제대로 완료하였는지에 대해 평가하며, 프로젝트 범위는 서비스의 결과물을 제대로 완료하였는지에 대한 평가로 이루어집니다. 범위관리를 계획하기우해서는 투입물로는 프로젝트관리계획서, 프로젝트 차트, 기업환경요인, 조직 프로세스 자산들이 필요하며, 도굼 및 기법으로 전문가들의 판단, 미팅등이 사용되어 집니다. 결과물로는 범위관리계획서라는 문서와 요구사항 관리계획서가 만들어집니다. 이러한 범위관리계획은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관리계획서에 포함되고 프로젝트의 일일, 주간, 월간, 분기 등 매 시기마다 계획대비 실적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요구사항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범위관리계회것, 요구사항관리계획서, 이해관계자관리계획서, 프로젝트차트, 이해관계자 등록부등이 필요하며 이런한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젝트 요구사항을 도출합니다. 사용하는 도구로는 인터뷰, 핵심그룹 브레인스토임, 워크샵, 의사결정기법, 설문지, 관찰 등등 여러가지 기법들이 있으며 해당 요구사항 수집을 통하여 요구사항 문서, 요구사항 추적매트릭스가 도출됩니다.